1. 가격존(Price Zone)
한 상품군의 판매가 상한과 하한의 간격을 말한다. '가격존이 넓다'고 하는 것은 그 상품군의 가장 높은 가격과 가장 낮은 가격의 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객단가
매장에 방문하여 매출을 일으킨 '고객 1인당 평균 구매액'을 말한다. 보통 일정 기간의 매출액을 그 기간의 고객 수로 나누어 산출한다.(매출액/고객 수).
객단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품의 단가를 올리거나 고객의 구매 수량을 높여야 한다.
3. 객수
일정 기간 동안 상품을 구입한 고객의 수를 말하며, 보통 계산대에 등록된 횟수로 알 수 있다.
4. 결품
상품 매대에 진열 상품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창고에 재고가 있든 없든 간에 진열 매대에 상품이 없는 경우를 걸품이라 한다.
5. 계절상품
계절에 따라 수요가 변도앟거나 구매 습관에 따라 매출이 변동되는 상품을 말한다. 1년 중 특정 계절에만 출시되어 팔리는 상품을 '계절상품'. 1년 내내 출시되어 팔리는 상품을 '연중상품'이라고 한다.
6. 계절지수(Seasonal Index)
일반적으로 4분기의 데이터 또는 월별 데이터의 1년간 평균을 100으로 하고, 각기 해당 되는 기간의 4분기 또는 월별 데이터의 계절 변동을 지수화하여 나타낸다. 계절 지수는 계절 변동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쓰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시계열의 계정 변동을 제거하는 데 이용된다.
7. 곤도라 엔드(Gondola End)
곤도라 진열대의 길게 이어진 진열 선반의 양쪽 끝인데 고객의 눈에 띄기 쉬운 장소이므로 행사 상품과 이슈가 될 만한 신상품을 진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8. 골든존(Golden Zone)
진열 매대에서 상품 매출이 가장 큰 부분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고객 눈에 잘 띄는 곤돌라 선반의 위치는 고객 눈높이보다 조금 아래쪽에 위치한다.
9. 과세/면세
"과세"는 매입/매출 시 부가가치세가 적용되는 것을 말하며,
"면세"는 매입/매출 시 부가가치세가 적용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면세는 보통 신선식품 같은 1차 상품이나 기타 서비스 상품에 많이 적용된다.
10. 납품
거래선에 발주한 상품이 해당 점포에 도달되어 입고되는 것을 말한다.
11. 노브랜드 상품
브랜드명을 일체 붙이지 않고 소위 특유한 상품으로서 그대로의 제품명으로 팔리는 것을 말한다. 각종광고비와 포장비의 절감을 통해 기존 브랜드 상품보다 가격이 매우 싸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Generic Brand 라고도 한다.
12. 다이렉트 메일(DM, Direct Mail)
기업이 특정 고객에게 인쇄물 등을 우편 발송함으로써 기업 및 상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판매 촉진 수단이다. 즉, 우편물을 이용한 상품 홍보 활동이다.
13. 단품 관리
유통업체 매장에서 수천에서 수만 가지의 상품을 진열되어 있다. 상품의 최소 단위를 단품이라고 하는데, 단품별 판매 동향을 일별로 파악하여 잘 팔리지 않는 단품을 정리하고 판매량이 좋은 단품 종류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많은 수의 상품을 수작업으로 파악할 수는 없기 때문에 POS 시스템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4. 대리점(Agent)
상품 브랜드에 대한 소유권은 가지지 않지만 특정의 제조업자 또는 공급 업자로부터 그 상품을 공급받아 자신의 책임 하에 판매나 공급 업무를 수행하는 유통 판매업체다., 그러나 주로 제조업체가 자사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대리점 체제를 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적으로 '대리점'이라고 하면 불특정 제조업체들의 제품을 취급하는 "혼합 대리점"과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에 한해 본사 상호를 쓸 수 있는 '전속 대리점'등으로 구분된다. 전속 대리점은 대리점 자체가 본사와 종속관계를 이루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본사의 지점 격이 되는 '직영 대리점'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15. 대면 판매
진열대를 사이에 두고 판매원과 고객이 서로 얼굴을 마주보는 형태의 판매 기법이다. 판매원이 직접 대면해서 상품을 설명하므로 고객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상품, 가공이 필요한 상품, 고가품 판매에 적합하다.
16. 도매(Wholesale)
상품을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고 소매상이나 도매상, 상인, 기관 등 상업적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것으로, 보통 유통에서는 중간 대리점, 대리점, 총판 등에서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17. 라이센스(Licence)
제휴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브랜드 사용 허가, 제공받은 디자인이나 제조 기술의 사용 허가를 말한다.
18. 레이아웃(Lay-out)
매장 관리에 있어서 상품 진열 위치와 동선, 설비, 통로 등 매장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를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매장의 레이아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신규 매장이나 기존 매장을 리뉴얼할 때 레이아웃은 기본 도면과 마찬가지다.
19. 로스(Loss)
파손, 도난, 분실 등으로 인한 재고 손실을 의미한다. 상품 로스에는 폐기 로스, 가격인하로스, 도난 로스 등이 있다. 한편 기회 로스란 품절, 검품 등으로 상품 판매 시기를 놓침으로써 야기되는 손실을 말한다.
로스 = 장부재고-실사재고
20. 로스율(Loss Rate)
매장 또는 창고에서 일정 기간 동안 로스(손실)되는 상품의 비율을 말한다.
로스율 = 상품로스액(판매가)/매출 총액 * 100
21. 리드 타임(Lead Time)
상품을 발주하여 납품 업체에 입고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22. 리베이트(Rebate)
목표 달성 또는 대량 판매 시 제조업체가 도소매 업자 또는 유통업체에게 격려 보수로서 지불하는 금액을 말한다.
23. 리시빙(Receiving)
주문한 상품과 수량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말한다.
24. 마이너스(-) 재고
매입 확정을 거치지 않고 매장에 반입되어 판매되는 비정상적인 상품 재고를 말한다.
25. 마진(Margin)
매출 총이익, 즉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의 크기를 말한다.
마진(이익액) = 판매가격 - 매입원가
이익률 = 이익액/매출액*100
26. 마켓 쉐어(Market Share)
마켓 쉐어란 어떤 상품의 시장에서 특정한 기업이 차지하고 있는 매출액의 비율. 즉 시장점유율을 말한다. 시장점유율은 그 산업 또는 시장에서 특정 기업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각 기업의 마케팅 활동도 이 마켓 쉐어를 기본으로 하여 계획한다. 기업의 마켓 쉐어가 상승하면 모든 면에서 시장에서의 지배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각 기업은 모두 마켓 쉐어의 상승을 꾀한다.
27. 매장 임대차 거래
매장 임대차 거래는 유통업체의 매장 일부를 빌려서 상품을 판매한 다음 그 판매액의 일부를 임대료로 지급하는 방식인데, 백화점이나 쇼핑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보통 "임대갑"과 "임대을"의 두 가지 거래 평태가 있는데 임대갑은 매출액과 상관없이 일정 금액을 유통업체에 지급하는 방식이며, 임대율은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28. 머천다이징(Merchandising)
상품화 계획, 상품 개발부터 사입, 매가 결정, 판매 촉진 등 고객에게 판매하기까지의 모든 활동이다. 머천다이징을 수행하는 사람을 머천다이저(MD, Merchandiser)라 한다.
29. 물류비
원재료의 조달에서부터 완제품이 생산된 이후 도매/소매/고객에게 납품 또는 반품, 회수, 폐기 등에 이르기까지 물자 유통을 위해 자사 또는 타사가 소비한 비용을 말한다.
30. 미끼 상품(Loss Leader)
특정 상품을 역마진 또는 초저마진으로 일반 판매가보다 훨씬 싼 가격에 판매하는 상품이다. 다른 상품도 쌀 것이라는 느낌을 갖게 하여 구매가 다른 상품으로 옮겨가도록 유도하는 상품을 말한다.
31. 바이어(Buyer)
상품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공급자를 선정하고 이틀과 매입 조건에 대하여 협상과 결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유통 최전선에서 상품 입점, 업체 선정, 기본 매입량 발주 등의 업무를 도맡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유통업체에서는 바이어, 온라인 유통업체에서는 MD(Merchandiser)라고 한다.
32. 바코드(Bar Code)
컴퓨터가 읽고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 기호와 조합한 코드를 말한다. 광학식 마크판독장치로 자동 판독되며 상품의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은 KAN 코드로 규정하는데 '88코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33. 박리다매(Low Price High Volume Policy)
상품 가격을 낮추고 대량 판매를 통해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익률을 낮게 정하는 대신에 판매량을 극대화하여 높은 순이익을 확보하는 것이다.
출처: 매출 100배 올리는 유통 마케팅 기법.